인도 파트너 선정시 준비사항: 평가 항목·자체 심사·현지 조사·경비 절감
서론
인도 시장 진출에서 파트너 선정은 성공을 좌우합니다. 인도시장에 대하여 기초지식을 갖고 시장 진출시엔 매우 낭패를 보기가 일수있다. 인도의 문화, 비즈니스 생태계, 단계별 필수 서류의 복잡성, 인도 세법, 수출입업무의 복잡성, 인사관리의 복잡성 등으로 인하여 국내 기업이 컨트롤 하기에는 매우 심각하고 비즈니스 실패의 지름길이 될것이다. 따라서 인도 현지의 고객도 중요하지만 함께 비즈니스 파트너를 선정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본 글은 실무 관점에서 평가 항목, 자체 심사 방법, 현지 조사, 경비 절감 전략을 한눈에 정리했습니다.
1. 평가 항목 (Evaluation Criteria)
- 역량: 생산·기술·재무 안정성, 인증(ISO/BIS) 보유
- 평판: 업계 신뢰도, 소송 이력, 부패 리스크
- 샘플: 파일럿 제품 품질·납기·A/S 대응
- 네트워크: 영업·유통망, 주요 고객·공급사 관계
- 인도 직원: 핵심 인력의 숙련도·이직률·조직문화
구분 | 핵심 체크 포인트 |
---|---|
재무 | 최근 3년 재무제표, 부채비율, 현금흐름, 세무 리스크 |
사업 | 주요 고객/프로젝트, 생산능력, 품질/납기 준수율 |
법규 | FDI/FEMA 준수, 인증·라이선스 상태 |
2. 자체 심사 방법 (Internal Due Diligence)
① 문서 검증: 이사회 결의서, 주주명부, 세금 납부 증빙, 주요 계약서
② 경영진 인터뷰: CEO/CFO/영업책임자의 전략·의사결정 방식 확인
③ 파일럿 거래: 소량 주문으로 품질·납기·커뮤니케이션 검증
④ 레퍼런스 체크: 고객·공급사·은행을 통한 평판 교차확인
3. 현지 조사 (On-site Due Diligence)
- 공장/사무소 실사: 생산라인·QC 프로세스·안전 규정
- 고객사 방문: 실제 납품 품질, 불량·클레임 이력
- 네트워크 확인: KOTRA·상공회의소·한인회 정보 교차검증
- 직원 인터뷰: 조직 분위기, 내부 갈등 유무, 보상체계
4. 경비 절감 방법 (Cost Optimization)
- 공동 조사: 유사 업종 기업과 실사 동행으로 비용 분담
- 온라인 자료: MCA/DGFT 등 공개 데이터로 1차 취합
- 현지 패키지: 컨설팅·통역·차량을 묶은 고정가 활용
- 단체 출장: 일정 묶음 운영으로 항공·숙박·차량 비용 절감
자주 묻는 질문(FAQ)
Q1. 파트너 후보는 몇 곳이 적절한가?
A1. 최소 3개사를 shortlist해 동시 비교·실사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Q2. 파일럿 거래 규모는?
A2. 리스크를 낮추기 위해 1~2회 소량 주문으로 품질·납기·소통을 점검하세요.
Q3. 법규 준수 확인 포인트는?
A3. FDI/FEMA 적용 여부, 세무 등록(GST/PAN/TAN) 상태, 주요 라이선스를 확인합니다.
결론
인도 파트너 선정은 수치 기반 검증과 현장 체감의 결합이 핵심입니다. 평가–심사–현지–비용 전략을 체계화하면 실패 확률을 크게 낮출 수 있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인도 법인 유형별 고려사항 및 의사결정에 대하여 소개하겠습니다.
약어 정리
약어 | 의미 |
---|---|
FDI | Foreign Direct Investment (외국인직접투자) |
FEMA | Foreign Exchange Management Act (외환관리법) |
GST | Goods and Services Tax (인도 부가가치세) |
PAN | Permanent Account Number (납세자번호) |
TAN | Tax Deduction and Collection Account Number (원천징수번호) |
MCA | Ministry of Corporate Affairs (인도 기업부) |
DGFT | Directorate General of Foreign Trade (대외무역총국) |